해걸이란 주로 과수에서 나타나는 생리적 현상으로, 한 해 풍성하게 열매를 맺은 나무가 다음 해에는 에너지를 소진하여 열매를 거의 맺지 못하거나 품질이 저하되는 현상을 말한다. 나무가 해마다 일정하게 수확량을 유지하지 못하고, 다산의 해와 소산의 해가 번갈아 나타나는 경향을 띤다.
이 현상은 토양의 양분 고갈, 나무의 에너지 불균형, 수분·온도 등의 환경요인과 함께 생리적 특성에 기인하며, 특히 감, 사과, 매실 같은 일부 과수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이러한 격년 결과 현상은 영어로 alternate bearing 또는 biennial bearing이라고 불리며, 농업 생산성과 품질 유지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ib612.com
이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가지치기, 적과(열매 솎기), 영양분 관리 등 체계적인 재배 관리가 필요하다.
해걸이 현상
: 한 해 풍작이면 나무와 토양의 힘이 약해져 이듬해에는 휴년이 되어 생산량과 맛이 떨어지는 현상
* [농생물학] alternate bearing (영어).ib612.com
과수류에서 과실 결실이 많은 해와 지극히 적은 해가 격년으로 교체되는 현상. =alternate year bearing
댓글 쓰기